세 번째는 행온인데, ‘행(行)’은 수, 상, 식 이외의 모든 마음의 작용을 총칭하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의지, 욕구, 바람, 잠재적 형성력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무엇인가를 바라는 마음 욕구이자, 어떤 행위의 원동력이 되는 의지작용이 행온이다. 즉 무엇인가를 간절히 바랄 때 그것은 이루어진다.
이 행온은 아주 미묘한 것이다. 한때 유행처럼 ‘간절히 바라면 이루어진다’는 말이 번져나갔다. 그러나 그 말에는 한 가지 빠진 수식어가 있다. ‘집착 없이’라는 수식이 빠졌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집착 없이 간절히 바라면 이루어질 확률이 높아진다. 만약 집착하면서 간절히 원하게 된다면 그것은 오히려 이루어지지 않기 쉽다. 왜냐하면 보통 사람들이 간절히 원할 때는 그것을 이루고자 하는 집착과 욕망이 따라붙기 때문이다. 집착이 개입되면 오히려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세 번째는 행온인데, ‘행(行)’은 수, 상, 식 이외의 모든 마음의 작용을 총칭하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의지, 욕구, 바람, 잠재적 형성력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무엇인가를 바라는 마음 욕구이자, 어떤 행위의 원동력이 되는 의지작용이 행온이다. 즉 무엇인가를 간절히 바랄 때 그것은 이루어진다.
이 행온은 아주 미묘한 것이다. 한때 유행처럼 ‘간절히 바라면 이루어진다’는 말이 번져나갔다. 그러나 그 말에는 한 가지 빠진 수식어가 있다. ‘집착 없이’라는 수식이 빠졌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집착 없이 간절히 바라면 이루어질 확률이 높아진다. 만약 집착하면서 간절히 원하게 된다면 그것은 오히려 이루어지지 않기 쉽다. 왜냐하면 보통 사람들이 간절히 원할 때는 그것을 이루고자 하는 집착과 욕망이 따라붙기 때문이다. 집착이 개입되면 오히려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글쓴이: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