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교리] 행온이란?
2024-10-09
조회수 268
28
2
iris2024-10-09 23:25
행온, 의도로 조작하여 만들어냄
행온 또한 실체없음
글 감사합니다🧡
과거에 대해 유일하게 참인 생각은, 과거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에 대해 생각하는 것 자체가
실체가 없는 환상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다
과거나 미래를 생각한다는 것은 실제로 그 어떤 것에 대해서도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실제로는 비어 있다
사람들은 좋은 세상, 만족스러운 세상, 두려운 세상, 적대적인 세상, 슬픈 세상, 악한 세상, 미친 세상 등을 보고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두 의미없음이다
의미없는 것은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
그렇다면 의미없는 세상을 보고 속상해할 필요가 없지 않은가?
그러나 너는 네가 원하는 세상을 새겨넣으려는 충동을 느낀다
바로 이것이 네가 세상에서 보는 것이다
너의 말 아래에 하느님의 말씀이 새겨져 있다
너의 말이 지워지고 나면 너는 하느님의 말씀을 보게 될 것이다
- A course in Miracles
행온 또한 실체없음
글 감사합니다🧡
과거에 대해 유일하게 참인 생각은, 과거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에 대해 생각하는 것 자체가
실체가 없는 환상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다
과거나 미래를 생각한다는 것은 실제로 그 어떤 것에 대해서도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실제로는 비어 있다
사람들은 좋은 세상, 만족스러운 세상, 두려운 세상, 적대적인 세상, 슬픈 세상, 악한 세상, 미친 세상 등을 보고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두 의미없음이다
의미없는 것은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
그렇다면 의미없는 세상을 보고 속상해할 필요가 없지 않은가?
그러나 너는 네가 원하는 세상을 새겨넣으려는 충동을 느낀다
바로 이것이 네가 세상에서 보는 것이다
너의 말 아래에 하느님의 말씀이 새겨져 있다
너의 말이 지워지고 나면 너는 하느님의 말씀을 보게 될 것이다
- A course in Miracles
행온(行蘊)은 의지 작용, 형성 작용이다. 무언가를 행하려는 의지, 의도, 의향 등을 나타내는 것이며, 하고자 하는 욕구나 바람의 의미도 담고 있다. 이것은 업(業)을 일으키는 형성력이 된다. 그래서 업(業)과 행(行)이라는 용어는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십팔계가 촉하면 수상행이 나타난다고 했는데, 눈이 무언가를 보았을 때 수온으로 좋고 나쁜 느낌을 느끼고, 상온으로 그것이 무엇인지를 개념화하여 사유하고 나면, 행온에서 좋은 것은 더 가지고 싶고, 싫은 것은 멀리하고 싶은 의지, 욕구가 일어나는 것이다.
배고픈 상황에서 눈으로 사과나무를 보았을 때, 수온은 배가 고프다는 인연 따라 그 사과에 대해 좋은 느낌을 일으키고, 상온은 그것을 먹을 수 있는 ‘사과’라고 개념 지어 지각하고, 행온은 사과를 따 먹고자 의도, 의지, 욕구를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행온은 항상 복수로 나타나는 것으로, 엄밀히 말한다면 ‘의지작용을 필두로 하는 수많은 심리현상들’을 의미한다. 행온은 수, 상, 식을 제외한 모든 정신작용을 다 포함한다. 청정도론에서는 50가지의 심리현상을, 구사론에서는 46가지 심리현상을 행으로 들고 있다. 예를 들면 의도 뿐 아니라 주의, 집중, 의욕, 탐욕, 성냄, 믿음, 양심, 수치심 등이 모두 행온에 속한다.
그러나 이 중에도 특히 의도, 의지작용이 행온의 주요한 심리작용이다 보니 행온은 주로 의지, 의도로써 쉽게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의지작용이 내 안에서 일어나면서 업을 지어 가다 보니, 우리는 이러한 의지작용을 가진 ‘의도하는 나’가 있다고 착각한다. 이러한 내 안에서 일어나는 ‘의도하는 마음작용’이 바로 행온이다.
행온은 이처럼 의지작용, 형성 작용을 말한다고 했는데, 교리적으로 살펴보면, ‘유위(有爲)를 조작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유위를 조작하는 존재가 내 안에 있다고 생각하고 바로 그 유위를 조작하는 마음인 행온을 나의 일부로 여기는 것이다.
유위(有爲)란 ‘만들어진 것’, ‘조작된 것’을 뜻한다. 유위법은 ‘일체 모든 존재’, ‘일체 모든 만들어진 것’이다.
글쓴이: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