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마다 부처님을 안고 자고, 아침마다 부처님과 함께 일어나네
2024-07-23
조회수 369
32
5
KK럭키2024-07-24 00:24
'모를 뿐'
일체가 목전에 드러나 있음에도 보지 못하고
무명에 가려 상놀이에 빠진 삼독 광대가 밖으로만 도를 찾았을 뿐.
파도가 해안절벽에 부딪혀 자연스레 바다의 품에 안기듯
번뇌가 은산철벽에 부딪혀 자연스레 본래 성품에 안겼습니다.
모를 뿐, 자연스레 인연따라 흘러갈 뿐.
최선을 다할 뿐입니다.
바른 가르침 감사합니다.
일체가 목전에 드러나 있음에도 보지 못하고
무명에 가려 상놀이에 빠진 삼독 광대가 밖으로만 도를 찾았을 뿐.
파도가 해안절벽에 부딪혀 자연스레 바다의 품에 안기듯
번뇌가 은산철벽에 부딪혀 자연스레 본래 성품에 안겼습니다.
모를 뿐, 자연스레 인연따라 흘러갈 뿐.
최선을 다할 뿐입니다.
바른 가르침 감사합니다.
iris2024-07-23 23:31
'밤마다 부처님을 안고 자고,
아침마다 부처님과 함께 일어나네.
앉으나 서나 늘 따라다니고
말할 때나 안 할 때나 함께 머물고 함께 움직이네'
'임마누엘'
하느님이 우리와 함께 계신다
하느님 안에 우리가 있다
다만 모양 안에서 표현이 다를 뿐,
단 하나의 진리입니다
글 감사합니다🧡
아침마다 부처님과 함께 일어나네.
앉으나 서나 늘 따라다니고
말할 때나 안 할 때나 함께 머물고 함께 움직이네'
'임마누엘'
하느님이 우리와 함께 계신다
하느님 안에 우리가 있다
다만 모양 안에서 표현이 다를 뿐,
단 하나의 진리입니다
글 감사합니다🧡
중국 양나라 선승 부대사의 시 한 편을 보시죠.
'밤마다 부처님을 안고 자고,
아침마다 부처님과 함께 일어나네.
앉으나 서나 늘 따라다니고
말할 때나 안 할 때나 함께 머물고 함께 움직이네.
털끝만큼도 서로 떨어지지 않으니
마치 몸에 그림자가 따르듯 하는구나.
부처님이 가신 곳을 알고 싶은가?
단지 이 말소리 나는 곳이 부처일세.'
불이법을 부대사는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곧장 바로 이것'이라는 자성, 본래면목을 부대사는 이처럼 밤마다 부처님을 안고 자고 아침마다 부처님과 함께 일어난다고 표현했습니다.
방편의 표현이지요.
함께 머물고 함께 움직인다고 이해하면 가까이 있는 것인가보다 하고 헤아릴까봐 다시 털끝만큼도 서로 떨어지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모든 것이 바로 이것이기 때문입니다.
불이법이란, 둘이 아니라는 의미죠.
둘로 나뉠 것 없이, 일체시 일체처에 이것 아닌 것이 없습니다.
무엇이 부처일까요?
무엇이 불이법일까요?
바로 이것입니다.
'바로 이것입니다' 하는 '바로 이것'입니다.
'바로~' 할 때 이것이고, '바~'할 때 바로 이것입니다.
이처럼 털끝만큼도 떨어지지 않고 바로 이것입니다.
굳이 말로 표현 해 본다면, 말소리 나는 곳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바로~'하든,
'바~'하든,
'이것이다'하든,
'뜰 앞의 잣나무'라고 하든,
'마삼근'이라 하든,
'마른 똥막대기'라 하든,
'옴 마니 반메훔'이라 하든,
그 말 뜻을 따라가지 않고, 그 말 나온 곳을 돌이켜 회광반조하면, 곧장 바로 이것입니다.
말의 내용을 따라가지 않고, 말이 나는 것을 통해 이것이 확인됩니다.
소리를 듣고,
말하고,
보고,
듣고,
맛보고,
냄새맡고,
생각하고,
감촉 느낄 때
바로 거기에서 확인됩니다.
작용이 일어나는 바로 그 순간, 그 '있음', '생명력', '현존' 등 뭐라고도 부를 수 있지만, 그 말 너머가 가리키고 있는 이것이 확인됩니다.
너무 단순한 이것이라 어렵게 느껴지는 것일 뿐입니다.
누구나 다 알고, 다 쓰고, 다 100% 활용하고 있는 이 단순한 것입니다.
문득 돌이켜 보면, 발을 헛디딜 때, 이 당연하고 고작 이것인, 이 아무 것도 아닌 이것이 확인됩니다.
이것이 무엇입니까?
글쓴이: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