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은 연기(緣起)에 따라 움직이는 법계(法界)다. 그렇다면 이러한 연기의 진리에 의해 운행되는 우주법계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 일체 모든 존재의 속성이기도 하며, 보편적인 특성이기도 한 것, 그것이 바로 삼법인(三法印)이다. 삼법인은 연기법의 또 다른 표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세상 모든 것이 연기된 존재이기 때문에, 그로인해 삼법인의 특성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삼법인은 세 가지로 나타나는데, 그 내용에 있어 남방 상좌부 전통의 불교와 북방의 대승불교 전통에서 말하는 내용에 한 가지 차이가 있다.
남방 상좌부 불교에서는 삼법인을 제행무상(諸行無常), 일체개고(一切皆苦), 제법무아(諸法無我)라고 하지만, 북방의 대승불교에서는 제행무상, 제법무아, 열반적정(涅槃寂靜)을 삼법인의 정형으로 보고 있다. 혹은 사법인(四法印)이라고 하여 제행무상, 일체개고, 제법무아, 열반적정을 모두 포함시키기도 하고, 때로는 오법인(五法印)이라고 하여 여기에 제법개공(諸法皆空)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경전에서는 이상의 네 가지 진리의 법인을 사유함으로써 모든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설한다. 『증일아함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한다.
“비구들이여, 죽음을 면하고자 한다면 네 가지 진리의 법인을 사유하라. 네 가지란 무엇인가. 첫 번째는 제행무상이며, 두 번째는 일체개고, 세 번째는 제법무아이며, 네 번째는 열반적정이다. 비구들이여, 이 네 가지 진리의 법인을 사유하라. 왜냐하면 그로써 생로병사, 근심, 슬픔, 번뇌 등 모든 괴로움에서 근본적으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이 네 가지 진리를 성취하라.”
죽음을 면한다는 것은 곧 사고팔고(四苦八苦)라는 근본적인 괴로움에서 벗어난다는 의미다. 생로병사와 근심, 슬픔, 번뇌 등 모든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삼법인, 사법인이다.
글쓴이:법상
이 세상은 연기(緣起)에 따라 움직이는 법계(法界)다. 그렇다면 이러한 연기의 진리에 의해 운행되는 우주법계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 일체 모든 존재의 속성이기도 하며, 보편적인 특성이기도 한 것, 그것이 바로 삼법인(三法印)이다. 삼법인은 연기법의 또 다른 표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세상 모든 것이 연기된 존재이기 때문에, 그로인해 삼법인의 특성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삼법인은 세 가지로 나타나는데, 그 내용에 있어 남방 상좌부 전통의 불교와 북방의 대승불교 전통에서 말하는 내용에 한 가지 차이가 있다.
남방 상좌부 불교에서는 삼법인을 제행무상(諸行無常), 일체개고(一切皆苦), 제법무아(諸法無我)라고 하지만, 북방의 대승불교에서는 제행무상, 제법무아, 열반적정(涅槃寂靜)을 삼법인의 정형으로 보고 있다. 혹은 사법인(四法印)이라고 하여 제행무상, 일체개고, 제법무아, 열반적정을 모두 포함시키기도 하고, 때로는 오법인(五法印)이라고 하여 여기에 제법개공(諸法皆空)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경전에서는 이상의 네 가지 진리의 법인을 사유함으로써 모든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설한다. 『증일아함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한다.
“비구들이여, 죽음을 면하고자 한다면 네 가지 진리의 법인을 사유하라. 네 가지란 무엇인가. 첫 번째는 제행무상이며, 두 번째는 일체개고, 세 번째는 제법무아이며, 네 번째는 열반적정이다. 비구들이여, 이 네 가지 진리의 법인을 사유하라. 왜냐하면 그로써 생로병사, 근심, 슬픔, 번뇌 등 모든 괴로움에서 근본적으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이 네 가지 진리를 성취하라.”
죽음을 면한다는 것은 곧 사고팔고(四苦八苦)라는 근본적인 괴로움에서 벗어난다는 의미다. 생로병사와 근심, 슬픔, 번뇌 등 모든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삼법인, 사법인이다.
글쓴이: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