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교리] 행(行)

2024-10-27
조회수 379

e6ac3af9e2049.jpg

 

무명을 조건으로 해서 행이 있다. 행이란 행위, 즉 업(業)을 가리키는 것으로, 삶을 향한 맹목적인 동기와 욕구를 형성한다. 쉽게 말하면 무명에 의해 실체적으로 존재한다고 여겨 집착된 대상을 실재화 하려는 의지작용이다.

그런 의미에서 행은 ‘유위(有爲)로 조작하는 것’이라고도 한다. 조작한다는 것은 한 마디로 없던 것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본래 텅 빈 바탕 위에 어리석음이라는 무명을 일으킴으로써 무언가를 만들어 낸 것이다. 마음에서 먼저 만들어내고, 말을 만들어내고, 행위를 만들어낸다.

무명이 없는 지혜로운 사람은 이 세상이 인연 따라 비실체적으로 생겨난 것인 줄 아는 까닭에 ‘나’에도 ‘세상’에도 집착하지 않고, 이 모든 것이 무아(無我)임을 안다. 그러므로 그 어떤 행위를 하더라도 그 모든 행위가 마치 꿈속에서 행하는 것처럼 비실체적인 것임을 알아 스스로가 일으킨 그 어떤 행위에도 집착하지 않고, 그렇기에 행위를 했어도 한 바가 없는 무위(無爲)의 행이 되며, 따라서 그 어떤 것도 조작하여 만들어내지 않는다. 만들어 냈다고 할지라도 그 또한 환영이며 신기루임을 알기 때문에, 그것은 만들어 낸 것이라고도 할 수 없다.

그러나 어리석은 사람은 반대로 이 세상이 모두 실재인 줄 알아 나와 세상에 집착하고, 그 모든 것을 가지려고 함으로써 말과 생각과 행동을 통해 자신의 삶을 조작해 내는 것이다. 말과 생각과 행동으로 조작해내는 것, 그것이 바로 행이다. 어리석은 무명을 원인으로 하여 사람들은 자연스러운 무위의 삶에서 벗어나 억지로 조작하는 유위의 삶을 살게 된 것이다.

이러한 행동과 말과 생각을 3가지 종류의 행, 이른바 신행(身行)과 구행(口行)과 의행(意行)이라고 한다. 즉, 어리석음, 무명 때문에 세상이 진짜인 것으로 착각하고 그 착각으로 인해 그러한 세상을 내 것으로 더 많이 가지려고 하고, 남들보다 더 많이 소유하려고 하는 신구의 삼행(三行)의 행위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신구의(身口意) 삼행은 몸으로 짓는 신행(身行)에 살생(殺生)·투도(偸盜:도둑질)·사음(邪淫:삿된 음행)의 3가지와, 말로 짓는 구행(口行)에 망어(妄語:거짓말)·양설(兩舌:이간질)·악구(惡口:욕설, 험담)·기어(綺語:이치에 어긋나는 괴변)의 4가지, 생각으로 짓는 의행(意行)에 탐(貪:탐욕)·진(瞋:분노, 화)·치(痴:어리석음)의 3가지가 있다. 이를 합치면 10가지로 신구의 삼행으로 선을 닦으면 십선업(十善業)이 되고, 악을 지으면 십악업(十惡業)이 된다.

신구의 삼행이 곧 신구의 삼업(三業)인데, 이 세 가지 업은 다시 그 행위의 좋고 나쁨에 따라 선업(善業), 악업(惡業), 무기업(無記業)으로 나뉜다. 무명으로 인해 유위행을 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선악의 분별이 시작되었음을 의미하고, 이로 인해 선업과 악업에 따른 과보가 발생한다. 그럼으로써 선악이라는 인간 근원의 괴로움이 생겨나는 것이다.

우리가 일으키는 모든 행은 어리석은 마음, 무명에서 일어난 행위로 거의 대부분이 유위행이다. 사랑을 하더라도 그 사람이 실체인 줄 아는 어리석음 때문에 그 사람을 내 사람으로 만들려는 집착의 행을 일으킨다. 이것이 바로 행위에 집착이 개입되어 있는 유위행이다. 이와 같이 무명이 있으면 행이 생겨난다.

반면에 밝음, 명, 지혜에서 일어난 행위는 해도 한 바가 없어 흔적이 남지 않는 무위행(無爲行)이다. 즉 명(明:지혜)에서는 유위행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행을 소멸함으로써 모든 괴로움이 소멸됨을 설하고 있다.

이 말이 모든 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 행위를 하되 함이 없이 한다, 집착 없이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행을 소멸하게 되면, 모든 유위행이 무위행으로 바뀌기 때문에 해도 한 바가 없고, 흔적이 없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하되 한 바가 없는, 흔적을 남기지 않는 부처님의 행이다.



글쓴이:법상

27 1

목탁소리 본찰 상주 대원정사


경북 상주시 화동면 판곡2길 31 대원정사

(우) 37144 (지번) 판곡리 87-1 

전화번호| 스마트 전화 0507-1421-7839


목탁소리 부산센터


부산시 해운대구 중동1로 25-1 더에이치빌딩 8층 목탁소리

(우)48095 (지번) 중동 1378-11

스마트 전화 0507-1481-7843


접수문의 총무처 010-9700-7811 (문자만)


Copyright ⓒ 2021 목탁소리 All rights reserved.

이용약관  |  개인정보방침찾아오시는 길 후원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