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결] 알지 못하는 줄 알면 견성이다(2)
2025-07-05
조회수 123
18
4
KK럭키2025-07-06 08:17
분별해도 함이 없이 할 뿐
가짜를 가짜인줄 알면 괴로움이 일어나도 일어난 바가 없습니다.
가짜를 진짜인줄 알면 괴로움이 일어나면 이리저리 휘둘리게 됩니다.
문득 계합했다면 가짜와 진짜를 볼 수 있는 안목이 우리 모두에게 본래 구족돼 있었음이 확연해 집니다.
지금 여기일 뿐
지금 여기에서 선지식께 법문을 청할 뿐입니다.
가짜를 가짜인줄 알면 괴로움이 일어나도 일어난 바가 없습니다.
가짜를 진짜인줄 알면 괴로움이 일어나면 이리저리 휘둘리게 됩니다.
문득 계합했다면 가짜와 진짜를 볼 수 있는 안목이 우리 모두에게 본래 구족돼 있었음이 확연해 집니다.
지금 여기일 뿐
지금 여기에서 선지식께 법문을 청할 뿐입니다.
이 신령스러운 앎, 즉 영지(靈知)도 그와 같아서 이것을 찾고자 하는 ‘이 마음’이 바로 찾으려는 ‘그 마음’과 둘이 아니다. 이미 이대로 자신의 마음인데 어찌 다시 알려고 하는가? 만약 알고자 한다면 곧 알지 못할 것이다. 이 자성은 알려지는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둘로 나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알지 못하는 줄 알면 그것이 바로 견성(見性)이다.
『수심결』에서 매우 유명한 구절이다. 단지불회 시즉견성(但知不會 是卽見性), 다만 알지 못한다는 것을 알면 그것이 바로 견성이다. 이런 낯선 방식이 중생의 분별 세상에는 없던 것이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다. 그러다 보니 도를 구하는 사람들이 자기가 자기를 확인하는 이 낯선 불이법의 방식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불이법의 방식은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중생심, 분별심은 곧 식(識)인데, 이 식은 곧 둘로 나누어 놓고 분별해서 대상을 아는 마음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가 쓰고 살던 마음은 ‘분별해서 대상을 아는 마음’이었다. 그래서 분별하지 않고 자기가 자기를 확인하는 이 낯선 방식 앞에서 꽉 막히게 마련이다. 이것이 일반 중생들이 마음공부를 어렵고 낯설게 느끼는 이유다. 그동안 하던 생각과 분별 방식의 기틀을 한번 크게 돌려 회광반조(廻光返照)함으로써 문득 자기가 자기를 확인하는 ‘하나 됨’, 즉 계합(契合)의 체험이 필요하다.
계합이란 ‘이것’이 ‘저것’과 하나 되는 것이 아니라, 본래부터 하나임을 확인하는 것일 뿐이다. 이것은 알아서 확인하는 것이 아니다. 알고자 하면, 벌써 둘로 나누어진다. 알려는 마음 자체가 ‘아는 나’와 ‘아는 것’을 둘로 나누는 분별이기 때문이다. 다만 알지 못하는 줄 확실하게 깨달으면, 그것이 바로 견성이다.
글쓴이: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