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섭법(四攝事)이라고 하는 것은 네 가지의 사무량심을, 구체적으로 자비심을 어떻게 발현할 것인가를 의미하는 실천적인 가르침입니다. 사섭법은 보시(布施), 애어(愛語), 이행(利行) 동사(同事)를 말하는데 하나 하나 살펴보고자 합니다.
첫째, 보시섭은 자비심을 실천하기 위해서 첫째로 보시를 실천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입으로만 보시, 보시하는 게 아니라 실질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것을 이웃과 함께 나눌 수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미소를 나누고 마음을 나누고 물질을 나누고 가르침을 나누고 모든 것을 나눌 수 있는 마음이 자비심을 실천할 수 있는 첫 번째 마음입니다.
두 번째는 애어(愛語)인데요, 즉 사랑스러운 말입니다. 말 한마디 따뜻하게 해주고, 아름다운 말 한마디 해주는 것, 그것이 중생에게 있어서는 그 어떤 것보다 중요하는 소립니다. 우리가 말 한마디 가지고도 천 냥 빚을 값 듯이, 말 한마디 갖고서도 그 사람에게 온전한 사랑을 나눌 수 있고, 마음을 나눌 수 있으며, 행복을 전해줄 수 있는 것입니다. 사랑은 하지만 말을 제대로 표현 못함으로써, 애어를 못함으로써 속으로는 사랑하지만 겉으로는 미워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겠죠. 말에는 특별한 파동, 파장의 에너지가 있어서 이 말의 파장이 이 우주 법계 끝까지 퍼져나갑니다. 그 말의 에너지가 하나의 창조 에너지가 되어 우주 끝까지 전달되고, 현실이 되는 것입니다. 어떤 말이든 만 번이고 십만 번이고 반복해 말하면 무조건 그게 현실이 된다고 하잖아요. 그게 바로 진언(眞言)이 된다는 소립니다.
그리고 세 번째는 이행(利行)입니다. 상대방에게 직접적으로 이로운 행을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몸으로써 이타적인 것을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에요. 애어는 구업을 말하고, 이행은 신업을 말합니다. 신구의 삼업 가운데 가장 직접적인 것이 바로 신업입니다. 행동이에요. 생각을 바꾸고 싶다면 먼저 행동을 바꾸면 생각도 뒤따라옵니다. 생각을 바꾸긴 쉽지 않지만 행동을 바꾸기는 쉬워요. 그래서 먼저 행동으로 저지르라는 것입니다. 보시를 실천하고 싶다고 말로만 할 것이 아니라, 직접 저질러 물질로써, 몸으로써 실천해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넷째가 동사섭(同事)입니다. 도움을 주고자 하는 그 사람이 하고 있는 그 일을 함께 하는 겁니다. 옆에서 지켜보고만 있으면서 잘 하라고 하고 마는 것이 아니라 직접 그 일에 뛰어들어 고락을 함께 하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 이렇게 물어요. “불살생을 지켜야 하는 스님들이 어떻게 군대에 가십니까?” 이런 게 바로 하나의 동사섭입니다. 한편으로 생각하면 군대가 누구 죽이는 단체에요? 살리는 단체죠. 살리기 위해서 만든 단체가 군대이지, 죽이기 위해서 만든 단체가 아니지 않습니까.
그리고 또한 군에서 많은 사람들이 있죠. 여러분의 아들들이 군에 있단 말입니다. 이들을 행복으로 안내하고, 고통에서 구제하고, 이들에게 뭔가 진리를 알려주려면, 나는 아주 초월해서 그냥 저기 신선처럼 있으면서 “중생들아, 좀 잘 살아봐” “너희들 군 생활 힘내서 잘 해라” 이렇게 얘기한다고 그게 되겠습니까? 그곳에서 함께 훈련도 하고, 함께 뛰고 하면서 동사(同事)하면서 함께 그곳에 있어 주는 것 그것이 진정한 자비심의 발로라는 것입니다. 중생 속에 함께 뛰어들어서 그 일을 함께 해 나아가는 것, 그것이 아름다운 동사섭의 실천입니다.
이처럼 자비심을 생활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길이 바로 보시, 애어, 이행, 동사라는 사섭법입니다.
2014.11.13 글쓴이:법상
사섭법(四攝事)이라고 하는 것은 네 가지의 사무량심을, 구체적으로 자비심을 어떻게 발현할 것인가를 의미하는 실천적인 가르침입니다. 사섭법은 보시(布施), 애어(愛語), 이행(利行) 동사(同事)를 말하는데 하나 하나 살펴보고자 합니다.
첫째, 보시섭은 자비심을 실천하기 위해서 첫째로 보시를 실천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입으로만 보시, 보시하는 게 아니라 실질적으로 내가 갖고 있는 것을 이웃과 함께 나눌 수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미소를 나누고 마음을 나누고 물질을 나누고 가르침을 나누고 모든 것을 나눌 수 있는 마음이 자비심을 실천할 수 있는 첫 번째 마음입니다.
두 번째는 애어(愛語)인데요, 즉 사랑스러운 말입니다. 말 한마디 따뜻하게 해주고, 아름다운 말 한마디 해주는 것, 그것이 중생에게 있어서는 그 어떤 것보다 중요하는 소립니다. 우리가 말 한마디 가지고도 천 냥 빚을 값 듯이, 말 한마디 갖고서도 그 사람에게 온전한 사랑을 나눌 수 있고, 마음을 나눌 수 있으며, 행복을 전해줄 수 있는 것입니다. 사랑은 하지만 말을 제대로 표현 못함으로써, 애어를 못함으로써 속으로는 사랑하지만 겉으로는 미워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겠죠. 말에는 특별한 파동, 파장의 에너지가 있어서 이 말의 파장이 이 우주 법계 끝까지 퍼져나갑니다. 그 말의 에너지가 하나의 창조 에너지가 되어 우주 끝까지 전달되고, 현실이 되는 것입니다. 어떤 말이든 만 번이고 십만 번이고 반복해 말하면 무조건 그게 현실이 된다고 하잖아요. 그게 바로 진언(眞言)이 된다는 소립니다.
그리고 세 번째는 이행(利行)입니다. 상대방에게 직접적으로 이로운 행을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몸으로써 이타적인 것을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에요. 애어는 구업을 말하고, 이행은 신업을 말합니다. 신구의 삼업 가운데 가장 직접적인 것이 바로 신업입니다. 행동이에요. 생각을 바꾸고 싶다면 먼저 행동을 바꾸면 생각도 뒤따라옵니다. 생각을 바꾸긴 쉽지 않지만 행동을 바꾸기는 쉬워요. 그래서 먼저 행동으로 저지르라는 것입니다. 보시를 실천하고 싶다고 말로만 할 것이 아니라, 직접 저질러 물질로써, 몸으로써 실천해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넷째가 동사섭(同事)입니다. 도움을 주고자 하는 그 사람이 하고 있는 그 일을 함께 하는 겁니다. 옆에서 지켜보고만 있으면서 잘 하라고 하고 마는 것이 아니라 직접 그 일에 뛰어들어 고락을 함께 하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 이렇게 물어요. “불살생을 지켜야 하는 스님들이 어떻게 군대에 가십니까?” 이런 게 바로 하나의 동사섭입니다. 한편으로 생각하면 군대가 누구 죽이는 단체에요? 살리는 단체죠. 살리기 위해서 만든 단체가 군대이지, 죽이기 위해서 만든 단체가 아니지 않습니까.
그리고 또한 군에서 많은 사람들이 있죠. 여러분의 아들들이 군에 있단 말입니다. 이들을 행복으로 안내하고, 고통에서 구제하고, 이들에게 뭔가 진리를 알려주려면, 나는 아주 초월해서 그냥 저기 신선처럼 있으면서 “중생들아, 좀 잘 살아봐” “너희들 군 생활 힘내서 잘 해라” 이렇게 얘기한다고 그게 되겠습니까? 그곳에서 함께 훈련도 하고, 함께 뛰고 하면서 동사(同事)하면서 함께 그곳에 있어 주는 것 그것이 진정한 자비심의 발로라는 것입니다. 중생 속에 함께 뛰어들어서 그 일을 함께 해 나아가는 것, 그것이 아름다운 동사섭의 실천입니다.
이처럼 자비심을 생활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길이 바로 보시, 애어, 이행, 동사라는 사섭법입니다.
2014.11.13 글쓴이: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