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말라야 내가 작아지는 즐거움 법상 스님과 함께하는 쿰부 트레킹
법상 지음 | 불광출판사 | 2010년 07월 05일 출간
구매하러가기
수행자의 내밀한 이야기가 담긴 히말라야 쿰부 트레킹 입문서
인터넷 생활수행도량 목탁소리(WWW.MOKTAKSORI.ORG)의 지도법사로서 생활 속에서 마음을 닦고자 하는 많은 이들의 수행을 이끌어 가고 있는 법상 스님의 여행기『히말라야, 내가 작아지는 즐거움』. 국내 최초로 스님이 쓴 히말라야 쿰부 트레킹 입문서로, 그동안 수행과 명상, 자연과 여행을 주제로 쓴 진지한 깨침의 글들로 큰 반향을 일으켜 온 법상 스님의 명상순례기를 담고 있다. 편의시설도 거의 없는 자연 그대로의 야생의 산속을, 그것도 해발 3,000~5,500M의 높은 설산의 기슭이나 봉우리까지 직접 온몸으로 온 감각으로 걸어 올라가며 느낀 자기 자신에 대한 통찰, 삶에 대한 지혜로운 사유와 사색을 간결하면서도 생동감 있는 필치로 섬세하게 담아내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국내 최초로 스님이 쓴 히말라야 쿰부 트레킹 입문서
예년에 비해 빨리 찾아온 더위가 일상의 탈출을 부추긴다. 떠나고 싶은 욕구가 춤을 춘다. 마음은 벌써 떠나고 있다. 어디로 떠날 것인가?
휴양지, 테마가 있는 여행, 트레킹이 좋을까?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꼭 한번 추천할 만한 책, 『히말라야, 내가 작아지는 즐거움』이 나왔다.
국내 최초로 스님이 쓴 히말라야 쿰부 트레킹 입문서이기도 한 이 책은 그동안 수행과 명상, 자연과 여행을 주제로 쓴 진지한 깨침의 글들로 큰 반향을 일으켜 온 법상 스님의 여행기이기에 솔깃한 호기심을 자아낸다.
‘저자(스님)는 어떤 마음으로 떠났을까? 히말라야 트레킹을 하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까? 무엇을 느꼈을까?’ 갖가지 궁금증이 일기 마련인데, 이 책은 이런 의문들을 상큼하게 풀어준다.
하루하루 일기를 써내려가듯, 바로 옆에 앉은 친구에게 이야기하듯 ‘트레킹을 떠날 때의 마음가짐’, ‘홀로 걷는 트레킹을 통해 명상하는 법’, ‘히말라야에서 만난 대자연의 장관’, ‘트레킹 기간 중 만났던 사람을 비롯해서 동물과 바람, 꽃, 강 등등에서 건져 올린 깨달음’을 간결하면서도 생동감 있는 필치로 섬세하게 그려 놓았다.
때문에 읽어가는 재미를 만끽하면서 그 여정을 따라가기만 해도 마치 히말라야의 품에 안긴 듯, 그 성스러운 영혼의 고향이 가슴 깊이 와 닿는다. 저자가 직접 담아 온 히말라야의 자연, 사람, 꽃, 동물 등 150여 컷의 사진도 그 생생한 감동을 더해준다.
또한 부록 ‘법상 스님께 묻는 트레킹 Q&A’을 통해 트레킹 준비를 완벽하게 할 수 있는 것도 이 책의 큰 장점이다.
히말라야를 꿈꾸는 이들에게 그 꿈을 이루는 방법을 조목조목 일러주고, 떠나고 싶어도 떠나지 못하는 이들에게는 이 책을 읽어나가는 것만으로도 바로 지금 이 자리에서 히말라야를 느끼면서 행복한 일상으로 돌아오게끔 이끌어준다.
수행자의 내밀한 이야기가 담긴 눈부시게 아름다운 명상순례기,
삶의 지혜를 열어주는 최고의 인생 가이드북
“여행을 떠나는 것만으로도 깨달음의 반은 성취한 것”, “모든 것을 버리고 히말라야로 떠나라.”
티베트의 성자 밀라레빠(Milarepa, 1052~1135)의 말에 홀린 것처럼 히말라야를 찾았다는 저자는 히말라야 순례는 단순한 여행이 아닌 운명 같은 것이었고, 내면의 히말라야를 찾아가는 구도과정이자 만행이었다고 토로한다.
“세상에서는 ‘내가 확장되는 즐거움’에 빠져 살지만, 여행을 떠나 ...(하략)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1일차 : 카투만두→루클라→팍딩
결국, 히말라야를 품다
비행기 추락, 우주적인 질서를 수용하라
생각을 너무 신뢰하지 말라
루클라에서 만난 여인
지텐라이의 행복
티베트 불교문화의 향기, 루클라에서 팍딩까지
여유작작 따뜻한 차 한 잔
히말라야 젊은이들의 소망
팍딩의 밤, 고일(高逸)한 외로움이 분다
2일차 : 팍딩→남체바자
탐세쿠, 설산 영봉에 취하다
추위에 잠을 설치다
자신의 일을 하는 즐거움
히말라야의 아이들
히말라야에 깃들어 사는 사람들
쿰부의 최대 도시, 남체바자의 풍경
3일차 : 남체바자→샹보체→히말라야 호텔→남체바자
남체바자와 샹보체, 그 선연한 하루
고산 적응을 위한 하루 휴식
가벼운 산책, 샹보체와 에베레스트 뷰 호텔
산중 롯지의 고즈넉한 저녁 풍경
4일차 : 남체바자→텡보체
쿰부의 최대 사원, 텡보체 곰파
걷는 것은 곧 하나 되는 과정
푼키텡가에서 만난 한국인
통증과 함께 600의 고도를 오르다
텡보체 곰파, 순례자의 기도
5일차 : 텡보체→팡보체→딩보체
쿰부의 본격적 풍광, 팡보체와 딩보체
이른 아침, 처음 보는 풍경 속을 걷다
팡보체와 딩보체, 그 황량하고도 압도적인 풍광
산중 마을에서 생각이 멎다
자연 치유, 통증이 사라지다
6일차 : 딩보체→낭카르창 피크→딩보체
낭카르창 피크, 다음 발자국을 향해 걷다
이것이 바로 히말라야구나
다음 발자국을 향해 걷다
5086 낭카르창에서 시간이 멈추다
밀라레빠의 노래, 욕망을 버리고 히말라야로 가자
온전한 휴식, 달빛 쇼크
7일차 : 딩보체→투클라→로부체→고락샵
로부체를 넘어 고락샵까지, 내맡김의 길
고독과 침묵 속의 새벽길
4,800 고지를 흐르는 생명수
계획은 언제든 변경될 수 있다
고도가 오르면 물가도 오른다
하나의 방식일 뿐, 더 나은 방식은 아니다
반짝이는 삶을 엿보...(하략)
[예스24 제공]
히말라야 내가 작아지는 즐거움 법상 스님과 함께하는 쿰부 트레킹
법상 지음 | 불광출판사 | 2010년 07월 05일 출간
구매하러가기
수행자의 내밀한 이야기가 담긴 히말라야 쿰부 트레킹 입문서
인터넷 생활수행도량 목탁소리(WWW.MOKTAKSORI.ORG)의 지도법사로서 생활 속에서 마음을 닦고자 하는 많은 이들의 수행을 이끌어 가고 있는 법상 스님의 여행기『히말라야, 내가 작아지는 즐거움』. 국내 최초로 스님이 쓴 히말라야 쿰부 트레킹 입문서로, 그동안 수행과 명상, 자연과 여행을 주제로 쓴 진지한 깨침의 글들로 큰 반향을 일으켜 온 법상 스님의 명상순례기를 담고 있다. 편의시설도 거의 없는 자연 그대로의 야생의 산속을, 그것도 해발 3,000~5,500M의 높은 설산의 기슭이나 봉우리까지 직접 온몸으로 온 감각으로 걸어 올라가며 느낀 자기 자신에 대한 통찰, 삶에 대한 지혜로운 사유와 사색을 간결하면서도 생동감 있는 필치로 섬세하게 담아내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국내 최초로 스님이 쓴 히말라야 쿰부 트레킹 입문서
예년에 비해 빨리 찾아온 더위가 일상의 탈출을 부추긴다. 떠나고 싶은 욕구가 춤을 춘다. 마음은 벌써 떠나고 있다. 어디로 떠날 것인가?
휴양지, 테마가 있는 여행, 트레킹이 좋을까?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꼭 한번 추천할 만한 책, 『히말라야, 내가 작아지는 즐거움』이 나왔다.
국내 최초로 스님이 쓴 히말라야 쿰부 트레킹 입문서이기도 한 이 책은 그동안 수행과 명상, 자연과 여행을 주제로 쓴 진지한 깨침의 글들로 큰 반향을 일으켜 온 법상 스님의 여행기이기에 솔깃한 호기심을 자아낸다.
‘저자(스님)는 어떤 마음으로 떠났을까? 히말라야 트레킹을 하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까? 무엇을 느꼈을까?’ 갖가지 궁금증이 일기 마련인데, 이 책은 이런 의문들을 상큼하게 풀어준다.
하루하루 일기를 써내려가듯, 바로 옆에 앉은 친구에게 이야기하듯 ‘트레킹을 떠날 때의 마음가짐’, ‘홀로 걷는 트레킹을 통해 명상하는 법’, ‘히말라야에서 만난 대자연의 장관’, ‘트레킹 기간 중 만났던 사람을 비롯해서 동물과 바람, 꽃, 강 등등에서 건져 올린 깨달음’을 간결하면서도 생동감 있는 필치로 섬세하게 그려 놓았다.
때문에 읽어가는 재미를 만끽하면서 그 여정을 따라가기만 해도 마치 히말라야의 품에 안긴 듯, 그 성스러운 영혼의 고향이 가슴 깊이 와 닿는다. 저자가 직접 담아 온 히말라야의 자연, 사람, 꽃, 동물 등 150여 컷의 사진도 그 생생한 감동을 더해준다.
또한 부록 ‘법상 스님께 묻는 트레킹 Q&A’을 통해 트레킹 준비를 완벽하게 할 수 있는 것도 이 책의 큰 장점이다.
히말라야를 꿈꾸는 이들에게 그 꿈을 이루는 방법을 조목조목 일러주고, 떠나고 싶어도 떠나지 못하는 이들에게는 이 책을 읽어나가는 것만으로도 바로 지금 이 자리에서 히말라야를 느끼면서 행복한 일상으로 돌아오게끔 이끌어준다.
수행자의 내밀한 이야기가 담긴 눈부시게 아름다운 명상순례기,
삶의 지혜를 열어주는 최고의 인생 가이드북
“여행을 떠나는 것만으로도 깨달음의 반은 성취한 것”, “모든 것을 버리고 히말라야로 떠나라.”
티베트의 성자 밀라레빠(Milarepa, 1052~1135)의 말에 홀린 것처럼 히말라야를 찾았다는 저자는 히말라야 순례는 단순한 여행이 아닌 운명 같은 것이었고, 내면의 히말라야를 찾아가는 구도과정이자 만행이었다고 토로한다.
“세상에서는 ‘내가 확장되는 즐거움’에 빠져 살지만, 여행을 떠나 ...(하략)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1일차 : 카투만두→루클라→팍딩
결국, 히말라야를 품다
비행기 추락, 우주적인 질서를 수용하라
생각을 너무 신뢰하지 말라
루클라에서 만난 여인
지텐라이의 행복
티베트 불교문화의 향기, 루클라에서 팍딩까지
여유작작 따뜻한 차 한 잔
히말라야 젊은이들의 소망
팍딩의 밤, 고일(高逸)한 외로움이 분다
2일차 : 팍딩→남체바자
탐세쿠, 설산 영봉에 취하다
추위에 잠을 설치다
자신의 일을 하는 즐거움
히말라야의 아이들
히말라야에 깃들어 사는 사람들
쿰부의 최대 도시, 남체바자의 풍경
3일차 : 남체바자→샹보체→히말라야 호텔→남체바자
남체바자와 샹보체, 그 선연한 하루
고산 적응을 위한 하루 휴식
가벼운 산책, 샹보체와 에베레스트 뷰 호텔
산중 롯지의 고즈넉한 저녁 풍경
4일차 : 남체바자→텡보체
쿰부의 최대 사원, 텡보체 곰파
걷는 것은 곧 하나 되는 과정
푼키텡가에서 만난 한국인
통증과 함께 600의 고도를 오르다
텡보체 곰파, 순례자의 기도
5일차 : 텡보체→팡보체→딩보체
쿰부의 본격적 풍광, 팡보체와 딩보체
이른 아침, 처음 보는 풍경 속을 걷다
팡보체와 딩보체, 그 황량하고도 압도적인 풍광
산중 마을에서 생각이 멎다
자연 치유, 통증이 사라지다
6일차 : 딩보체→낭카르창 피크→딩보체
낭카르창 피크, 다음 발자국을 향해 걷다
이것이 바로 히말라야구나
다음 발자국을 향해 걷다
5086 낭카르창에서 시간이 멈추다
밀라레빠의 노래, 욕망을 버리고 히말라야로 가자
온전한 휴식, 달빛 쇼크
7일차 : 딩보체→투클라→로부체→고락샵
로부체를 넘어 고락샵까지, 내맡김의 길
고독과 침묵 속의 새벽길
4,800 고지를 흐르는 생명수
계획은 언제든 변경될 수 있다
고도가 오르면 물가도 오른다
하나의 방식일 뿐, 더 나은 방식은 아니다
반짝이는 삶을 엿보...(하략)
[예스24 제공]